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5

<펄프 픽션> 파격적 스토리텔링, 타란티노 감독, 타란티노 효과 최근에야 드디어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영화 '펄프 픽션'을 보게 되었다. 영화는 보지 않았어도 누구나 한 번쯤은 다른 매체로 봤을 바로 그 장면, 단발머리에 흰 셔츠를 입은 우마 서먼과 함께 장발머리를 묶고서 정장을 입은 채 심각한 표정으로 춤을 추는 존 트라볼타. 이 장면이 나오는 영화가 바로 '펄프 픽션'인 것이다. 사실 너무나 유명한 장면이기도 하고 또 존 트라볼타의 모습이 나에겐 다소 느끼하게 느껴저서 이 영화에 손이 가질 않았었다. 하지만 영화 관련 블로그를 하다 보니, 이 영화가 왜 이렇게 지금까지 회자되며 사람들 기억에 자리 잡고 있는지 궁금증을 해결하고자 '펄프 픽션'을 보게 되었다. 1994년에 개봉한 이 영화는 범죄, 블랙코미디, 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영화이자 파.. 2024. 1. 29.
<다크 나이트> 크리스토퍼 놀란, 히스 레저, 이전 배트맨과의 차이 2008년에 개봉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는 슈퍼히어로 장르물을 좋아하지 않는 나에게도 매우 기억에 남는 영화이다. 워낙에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뛰어나기 때문에도 있겠지만 평소 히스 레저 배우를 좋아하기도 했고, 영화가 표현하고 있는 주제와 분위기가 다른 슈퍼히어로 장르와는 확연하게 달랐기 때문이다. 아마 이 영화 에서 히스 레저가 연기한 조커는 역사에 길이길이 남을 악역이자 캐릭터일 것이다. 너무나도 좋아하던 배우가 이 영화를 마지막으로 세상을 떠난 것이 매우 안타깝다. 히스 레저라는 배우에 대해 다시금 기억하기 위해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많은 좋은 영화들 중에서도 이 영화에 대해 글을 쓰기로 선택했다. 이번 글에서는 의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의 연출 스타일과 역사에 남을 조커 캐릭터를 탄생.. 2024. 1. 28.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웨스 앤더슨 감독, 유머와 풍자, 관계의 내러티브 영화가 주는 즐거움은 참 다채롭다. 영화의 내용으로 감동을 주기도 하고,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상상력을 자극하기도 하고, 주제의 심오함으로 삶에 대해 고찰하게 하는 등 영화가 종합예술이라는 것이 확실히 맞는 것 같다. 그중에서도 영화가 줄 수 있는 또 다른 큰 즐거움은 바로 시각적 만족감일 것이다. 시각적 스토리텔링으로 영화에 몰입하게 만들고, 영화 자체의 분위기와 개성을 만들어내는 것이 바로 시각적 요소이기 때문이다. 나에게 시각적 즐거움을 자극하는 영화 중 가장 먼저 생각나는 영화가 있다면 바로 2014년에 개봉한 웨스 앤더슨 감독의 이 영화 이다. 그전까지는 이렇게 통통 튀는 색감과 장식적 요소가 넘치는 영화를 본 적이 없는 것 같기 때문이다. 에서 보여주는 웨스 앤더슨 감독의 독특한 시각적 스타.. 2024. 1. 27.
<시간을 달리는 소녀> 애니메이션 스타일, 마코토와 치아키, 시간 여행의 딜레마 일본은 정말이지 애니메이션 강국이다. 지난번 다뤘던 을 제작한 지브리 스튜디오 같은 곳도 있지만 그 외에도 너무나 다양한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사도 있고 스토리도 작화도 모두 다양하면서도 작품성 있기 때문이다. 는 2007년에 개봉한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작품으로 1967년에 쓰쓰이 야스타카가 작가가 썼던 원작 소설을 각색한 영화이다. 평범한 고등학생 마코토가 어떠한 우연한 계기로 시간을 이동하는 능력을 얻으며 발생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영화를 오래전 고등학생 끝자락에 봤었다. 주인공 마코토와 비슷한 나이에 영화를 봐서 그런지 마코토라는 역할에 더 몰입하며, 영화를 다 보고 난 후의 두근거림으로 밤잠을 설쳤던 기억이 있다. 속 뜨거운 여름의 분위기와 평화로운 방과후 학교의 모습. 아직도 생생한 이.. 2024. 1. 26.
<그녀> 미래 사회, 외로움과 고독, 편지 작가라는 직업 지금으로부터 약 10년 전인 2013년에 개봉한 스파이크 존스(Spike Jonze) 감독의 영화 는 SF 장르로 인공지능 기술이 단순한 도구가 아닌 삶의 동반자가 되는 미래사회를 그리고 있다. ChatGPT가 등장하고 여러 인공지능과 목소리로 대화가 가능해진 오늘날을 생각하면, 정말로 영화가 보여주는 미래사회가 머지않은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만큼 선구적인 시각으로 만큼 인공지능이 인간 사이의 복잡함을 그려내면서도 관객의 마음에 깊은 울림을 주는 영화가 또 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이번 글에서는 영화 가 묘사하고 있는 인공지능의 미래 사회에 대해 알아보고, 영화가 외로움과 고독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또 주인공의 직업은 왜 하필 '편지 작가'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에서 보여주는 첨단 기술.. 2024. 1. 25.
<빌리 엘리어트> 영국 광부 파업, 빌리의 정체성 찾기, 아이들의 순수함 2000년에 개봉한 영화 는 영국 북부의 작은 탄광촌 마을에 살고 있는 소년 빌리 엘리어트가 정체성을 찾고 그의 꿈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그린다. 영화의 배경은 1984~1985년의 영국 광부 파업을 배경으로 한다. 빌리는 이 파업에 열성적인 아빠와 형 그리고 치매 증세가 있는 할머니와 살고 있다. 아빠의 강요로 권투학원을 다니던 빌리는 체육관 한쪽에서 발레수업을 보게 되고, 권투와는 사뭇 다른 평화로운 분위기와 아름다운 음악에 매료된다. 발레 선생님인 윌킨슨 부인의 권유로 간단한 레슨을 받게 된 빌리는 점점 더 발레의 매력에 빠지지만 가부장적이고 고정관념이 강한 아빠와 형의 반대로 발레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처한다. 광부라는 일을 하며 힘든 노동을 하고 시위를 벌이며 살아온 그들에게 남자가 발레를 한다.. 2024. 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