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ovie

<빌리 엘리어트> 영국 광부 파업, 빌리의 정체성 찾기, 아이들의 순수함

by amunsa 2024. 1. 24.
반응형

<빌리 엘리어트> 포스터

 

2000년에 개봉한 영화 <빌리 엘리어트>는 영국 북부의 작은 탄광촌 마을에 살고 있는 소년 빌리 엘리어트가 정체성을 찾고 그의 꿈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그린다. 영화의 배경은 1984~1985년의 영국 광부 파업을 배경으로 한다. 빌리는 이 파업에 열성적인 아빠와 형 그리고 치매 증세가 있는 할머니와 살고 있다. 아빠의 강요로 권투학원을 다니던 빌리는 체육관 한쪽에서 발레수업을 보게 되고, 권투와는 사뭇 다른 평화로운 분위기와 아름다운 음악에 매료된다. 발레 선생님인 윌킨슨 부인의 권유로 간단한 레슨을 받게 된 빌리는 점점 더 발레의 매력에 빠지지만 가부장적이고 고정관념이 강한 아빠와 형의 반대로 발레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처한다. 광부라는 일을 하며 힘든 노동을 하고 시위를 벌이며 살아온 그들에게 남자가 발레를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고 수치스러운 일인 것이다. 그들에게 남자는 권투와 같은 과격한 운동을 해야 하고 발레는 오직 여자들이 하는 일인 것이다. 하지만 발레에 대한 열정을 포기할 수 없었던 빌리는 우연한 기회로 아빠에게 자신의 춤을 보여주게 되고, 빌리의 춤을 본 아빠는 빌리의 몸짓에서 자신의 아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고 빌리의 꿈을 전폭적으로 지지하기로 결심한다. 점점 아빠와 온 마을의 지지를 얻게 된 빌리는 꿈을 이루기 위해 런던으로 떠나게 된다.

 

<빌리 엘리어트> 속 광부의 파업과 그것이 미치는 영향

영화 <빌리 엘리어트>의 이야기가 전개되는 배경에는 역사적인 사건인 1984-1985년 영국 광부들의 파업이 자리 잡고 있다. 영화에서 보여주는 이런 사회정치적 격변은 영화 속 인물들의 운명에 영향을 미치며 영국 북부의 노동계급의 어려움을 생생하게 그린다. 광부들의 파업은 정부가 수익성이 없는 탄광을 폐쇄하려는 시도로 인해 촉발되었다. <빌리 엘리어트>에서 이러한 배경은 이야기에 층위를 더해 빌리 가족을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게 만든다. 한때 지역 사회의 희망이었던 광산은 이제 저항의 상징이 되었고, 광부들이 경찰과 정부에 맞서 항의하면서 그 긴장감은 모든 마을에 울려 퍼진다. 영화 속의 파업은 경제적 영향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에도 영향을 미친다. 시위대와 공권력 간의 충돌이 일상적으로 발생하면서 광부들과 그 가족들 사에이 뚜렷한 연대감과 동지애가 형성된다. 그러나 언제 파업 시위대를 배신하고 정부의 편으로 돌아설지 모른다는 불안감은 균열을 만들어 우정은 긴장이 되고, 가족은 분열되고, 끈끈하게 결속된 공동체의 본질이 시험대에 오르게 된다. 파업의 영향은 경제적 영역을 초월하여 동네의 중추를 형성하는 대인 관계에 깊이 파고든다. 영화 <빌리 엘리어트>는 본질적으로 1980년대 영국의 사회정치 풍경의 축소판이다. 광부들의 파업은 당시의 계급투쟁과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은유적 역할을 하고, 노동자 계급인 광부와 기득권층 사이의 충돌은 영화 제작자들의 권력, 저항, 끊임없는 존엄 추구에 대한 생생한 비평을 그리는 캔버스가 된다.

 

<빌리 엘리어트>에서 나타나는 빌리의 정체성 찾기 여정

<빌리 엘리어트>의 이야기 중심에는 성별 고정관념과 사회적 한계를 뛰어넘어 찾아가는 정체성이라는 내러티브가 자리 잡고 있다. 파업이라는 경제적 혼란과 사회적 격변 속에서 빌리는 자기의 정체성을 위한 여정을 시작한다. 남성적인 광산 공동체의 엄격한 기대는 발레에 대한 빌리의 열정과 충돌한다. 발레 스튜디오는 빌리가 사회적 제약이나 편견에서 벗어나 자기를 표현하는 것을 탐구하는 마음의 안식처가 된다. 발레 동작을 하나하나 익혀가면서 빌리는 발레의 매력에 빠지고 아빠나 형의 기대 속에 파묻혀 있던 본인의 정체성을 찾기 시작한다. <빌리 엘리어트>는 성별 고정관념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던진다. 권투가 남성성의 전형으로 여겨지는 영국 북부의 탄광촌은 빌리가 그러한 편견에 맞서 싸우는 전쟁터가 된다. 권투 대신 발레를 선택한 빌리는 성별에 따라 사회적 기대가 부과되는 현상에 대한 반항이자 영화의 함의이다. 영화는 아빠와 형 캐릭터를 통해 점점 남성성이라는 개념에 도전을 하며 그 층을 섬세하게 벗겨내고 강해 보이는 표면 아래에 있는 취약성을 노출시킨다. 빌리는 영화를 보는 우리로 하여금 사회적 제한을 초월하면서 성별에 따라 개인에게 가해지는 제약에 대해 질문하게 만든다. 빌리의 정체성 찾기 여정을 통해 우리는 사회적 편견에 관계없이 자신의 열정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빌리가 정체성을 찾아감에 있어 마을도 적지 않은 역할을 한다. 처음에 마을 사람들은 빌리가 발레를 한다는 것을 이상하게들 여겼지만 점차적으로 빌리의 지지자가 된다. 윌킨슨 부인 그리고 친구 마이클과 더불어 마을 사람들에게서 받은 격려와 응원은 지역사회의 지지와 응원의 힘을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지역 공동체는 빌리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그가 더욱 정체성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발판이 된다.

 

예정된 운명에서 탈출하게 만드는 아이들의 순수함

<빌리 엘리어트>에 등장하는 순수하고 천진난만한 아이들의 모습은 영화를 보며 미소를 짓게 만든다. 어른들은 아이들이 아무것도 모른다고 생각하겠지만 생각보다 아이들은 삶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이해하고 있다. 빌리가 예정된 운명에서 탈출할 수 있었던 것도 어쩌면 그런 순수함과 지각력 덕분인지도 모른다. 빌리가 발레를 선택하지 않았더라면 정해진 운명처럼 아빠와 형을 따라 광부가 되었을 것이다. 우연한 계기로 발레의 매력에 빠진 빌리는 그의 순수한 시각을 통해 사회적 편견 그 너머를 보게 된다. 춤은 빌리의 해방을 표현하는 형태가 되고, 어른들이 빌리에게 바라는 정해진 운명에서 벗어나게 하는 통로가 된다. 빌리의 반항은 때때로 예정된 운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어린아이들의 때 묻지 않은 시각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이들은 어른들이 이해할 수 없는 것들도 분별하는 놀라운 능력을 갖고 있을 때가 있다. <빌리 엘리어트>의 빌리 역시 순진함 속에서 그만의 지혜로 여러 상황들을 해결해 나간다. 아빠와의 긴장된 관계, 광산 파업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등 그를 미리 예정된 운명에 묶어두려는 다양한 환경들을 빌리는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명석하게 헤쳐나간다. 영화는 어른들이 결정을 내릴 때 수반되는 다양한 가정과 복잡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도록 유도하며, 천진난만한 시선으로 종종 놀라운 통찰력을 보여주는 아이들의 직관적 지능을 보여준다. 빌리가 예정된 운명에서 탈출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세상을 편견 없이 바라보는 아이들의 순수한 시선 덕분이었을 것이다.

반응형